[로마©Medu.News] IMAT 시험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가운데, 응시 당일에 관한 주요 정보를 다음과 같이 안내한다. 특히, 새로워진 입학시험 관련 규정으로 인해 “고사장 출입 및 OMR카드 등 시험지와 답안지 제출” 관련 조치가 매우 엄격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대학별 고사장 배치와 운영에 대한 정보는 최종적으로 시험 당일 아침 7시 기준의 대학측의 공지 내용이나 시점에 따른 업데이트나 수정 여부를 추가로 확인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학별 고사장의 “현장 통제관”이 지시하는 내용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므로, 반드시 “이탈리아어 안내”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주변의 수험생이 아닌 “공식 통제관”에게 해당 내용을 영어 (*또는 이탈리아어)로 질문하도록 하고, “조용히 손을 들고 주변의 통제관이 가까이 올 때까지 대기”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칫, 이탈리아 통제관의 판단에 “미심쩍은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어떠한 행동도 하지 않아야 하며, 문화적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외국인에게 허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변의 이탈리아인 학생들이 하는 행동을 기준 삼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좋다.

한편, 기본적으로 응시자 유의 사항에 대한 공식 안내문은 각 대학별 응시자 공지 사항을 통해 수험생 스스로가 꼭 확인해야 하며, 응시자 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이 주요 사항을 간략히 안내하므로 응시자 개인의 추가 확인과 정확한 계획을 잊지 말아야한다. 또한, 예년 기준으로는 시험 당일 현지 시각으로 밤 10시 경에는 공식 문항과 정답이 모두 공개되며, 이 때에 응시자는 각자 선택한 문항별 답변을 기준으로 가채점이 가능했다. 올해 입시에서도 예년과 시행 절차나 시험 문제지의 구성 등 본문 하단에 첨부한 자료에 비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풀지 않고 생략한 문항을 제외한) 빠른 채점결과 확인을 위해 “바코드 스티커 번호 + 문제지 일련번호”를 손목에 꼭 적어오는 것이 중요하며, 시험 당일 가채점이 가능하도록 “내가 선택한 정답”을 무조건 외워오는 것이 중요하다.

시험 당일 준비해야 할 것은?

올해는 본격적으로 “위드 코로나”에 해당하는 IMAT 고사장 환경이 적용되며, 일부 대학의 경우에는 아예 충분한 응시자 간격 확보를 위해 “컨벤션 센터” 등과 같은 별도의 외부 공간을 통해 평가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해가 마지막 지필고사를 실시할 것으로 예정된 가운데, 2024년 이후에 치러지는 IMAT 은 CBT 기반으로 진행됨에 따라 기존의 이탈리아 국내 및 해외 고사장 일부는 시험을 치를 수 없게 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2023년 이후에 IMAT 응시할 경우에는 “응시 일정 등” 세부 규정에 대한 변경사항을 확인해야 한다.

한편, 해마다 응시자 일부는 고사 당일 정해진 시간 이내에 정해진 장소에 도착하지 못하거나, 현장에서 상황이 갑자기 변경되는 경우 등에도 “이탈리아어 안내”를 전혀 알아듣지 못하여 “결시”하는 경우로 이어진 사례가 있었다는 점을 명심하여, (*별도로 개별 고사장에서 고지하는 출입 통제 시각이 없는 한) 늦어도 8:30 까지는 현장에 도착하여 “수시로 주변 이탈리아 수험생이나 현장 관리자”에게 과감하고 반복적으로 “영어로 문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기 시간 중에는 건물 주변에서 흡연하거나 떠드는 등 매우 불편한 상황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화장실 이용”이나 “시험 전 식사를 위한 장소 이탈”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인 응시자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여 자칫 고사장 입장 안내를 놓쳐서 입실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준비물 (*대학별 상이)

  1. 검정색 볼펜 (여분 확인)
  2. 휴지
  3. 생수(*500 ml)
  4. 간식(*초콜렛 등)
  5. 여권
  6. IMAT 등록 확인 서류 (*이메일 WorldPay CARD transaction Confirmation + 스크린샷 “Minerva Testing” IMAT Test Centre Booking)
  7. 대사관 발급 서류 (or ATTESTATO di COMPARABILITÀ) 
  8. Pre-Enrolment Summary

고사장

  1. 대학 홈페이지 또는 공식 안내 이메일 참조
  2. STARTER 패키지 가입자는 별도 이메일로 안내
  3. 고사장 주소가 1개 또는 그 이상일 가능성에 유의 (*생년월일 또는 영문 성명 알파벳 등으로 분류)
  4. 고사장 주소 및 건물 명칭이 동일하더라도 “알파벳” 구분에 따라 동∙층 등이 다를 수 있음에 유의
  5. 시험 당일 가급적 온라인 예약 택시∙Uber 등 (*카카오 택시 유사 서비스) 활용하고, 미리 Google Maps 를 통해 소요 시간과 대략적 위치 확인
  6. 기타 버스∙지하철∙전철 등 일반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반드시 “대중교통 운수노조 시위로 인한 운행 중단 여부 + 탑승 및 환승 방법과 유의사항”을 숙지할 것

주의 사항 - 1

고사장 도착 및 입실

  1. 자술서 현장 제출 및 신원 확인절차 고려하여, 고사장 도착은 소집 시각보다 30분 전까지
  2. (*코로나19 등 사유로) 공식적으로 소집 시각부터 시험 종료까지 취식 제한 또는 금지 (*고사장 출입 시 유의)
  3. (*코로나19 안전 수칙과) 개인 신분 확인 등 절차로 인해 30-90분 가량 “입실 절차” 진행
  4. 시험 개시 전까지는 “감독관 안내에 따른 화장실 추가 이용 가능”
  5. 시험 도중에는 “화장실 이용 불가”
  6. 모든 질문은 “고사장 현장 담당자”에게 영어로 문의 가능
  7. (*부정행위 방지 및 코로나19 등 방역 사유로 인해,) 대다수 고사장에서 “개인 소지품 지참 금지 (*신원 확인 및 구비 서류 예외)
  8. 고사장에는 “여권 및 기타 증빙 서류 + 검정색 볼펜” 지참하여 입실 (*고사장에서 볼펜 지급할 경우, 본인 볼펜은 폐기처분)
  9. 고사장에 따라, 생수 1병을 지급할 수도 있으나, 개별적으로 뚜껑이 있는 생수 1병을 지참하고, 관련 현장 지침을 준수할것

주의 사항 - 2

시험지 배포 준비와 시작

  1. 지정된 좌석 외 착석 금지
  2. 고사장 입실 후, 구역 내에서 타인과 집합 행위 등 금지
  3. 하기 내용은 2022 기준으로써, 2023 이후 변경 가능하므로 “단순 참조용도로만 활용”
  4. 여권 등 개인 확인용 서류 및 검정색 볼펜 구비
  5. 하얀 서류 봉투를 감독관이 수험생 1인당 1개씩 직접 배포
  6. 서류 봉투는 감독관 지시에 따라 일괄적으로 개봉 및 내용물 확인 (*문제지+표지+수험자 개인정보 서식+OMR 답안지)
  7. 문제지 묶음 또한 감독관 지시에 따라 개봉
  8. 모든 내용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특히 응시자의 1지망 대학 코드가 틀렸거나 내용물이 없는 경우 감독관에게 곧바로 신고
  9. 표지(Cover Sheet)와 OMR 답안지(Answer Sheet), 그리고 문제지(Question Paper)에는 모두 “동일한 바코드 일련번호”가 인쇄되어야 함 (*셋 가운데 하나라도 번호가 다를 경우 감독관에게 즉시 신고)
  10. 수험자 개인정보 서식(Candidate Data Sheet)에는 바코드가 없음
  11. 지시에 따라 Candidate Data Sheet 을 작성
  12. Candidate Data Sheet 은 “서명 금지(Do NOT Sign) ➝ 시험종료 후 별도 지시에 따라 서명
  13. 총 수험 시간은 100분이며, 종료 30분전 및 10분전에 각각 종료 예정을 안내함
  14. 응급 상황이 아닌 “화장실 사용”은 금지 (*감독관 판단에 따라 조치)
  15. OMR 답안지 작성 요령은 안내문 뒷면에 나와 있음

주의 사항 - 3

▣ 응시자 주의 사항 3 – OMR 답안지 작성/수정 요령 및 개별 가채점 준비

  1. 하기 내용은 2022 기준으로써, 2023 이후 변경 가능하므로 “단순 참조용도로만 활용”
  2. OMR 답안지에는 정답 표기 외에 “낙서∙메모” 절대 금지 (*무효 처리)
  3. 선택하는 정답 항목에 X로 표시
  4. 한번 선택한 정답을 수정하려면 완전히 검게 칠한 ⬛︎ 로 변경 후, 새로운 답에 X 표시
  5. 각 문항 번호 왼편의 ⚪︎ 은 “(건너뛰기 또는 중복 수정한 답을 무효화 등)최종 무응답 처리요망“을 원할 경우 ⚫︎ 표시
  6. 별도로 아무런 X표를 하지 않거나, 같은 문항에 두 개 이상의 X표한 경우는 “무응답(=0점)”으로 처리함
  7. 빠른 공식채점 결과확인을 위해, “바코드 스티커 번호 및 문제지 일련번호“를 꼭 손목에 적어올 것
    • 해당 번호를 통해 약 2주 후 “무기명 수험번호별 득점 결과”와 최종 대조 및 확인이 가능
    • 바코드 스티커의 번호는 반드시 “스티커 부착 시, 암기 후 손목에 정리”할 것
  8. 시험 당일 발표 예정인 “정답지”를 바탕으로 개인별 가채점 가능함
    • 가채점을 통해 “합격 가능성”을 시험 당일 80% 이상 판별 가능(*당일 EU메듀케이션 웹사이트 참조)
    • 공식 발표 정답은 “모든 문제의 정답이 A“로 선택지 순서를 조정하므로 ABACDE 등으로 적으면 확인이 불가
    • 따라서, 가채점을 위해 반드시 “손등손목손바닥” 등에 “내가 고른 정답”을 “한글 초성 등으로” 기록할 수 있음 (*완전 종료 직후 촬영하여 가채점까지 유지)
    • “내가 고른 정답”은 각 문항별 키워드를 한글로 적어올 것 (*부정행위 오인을 피할 수 있음)
      • 예시 1) 정답이 742 인 경우 ➝ “칠사이” 등
      • 예시 2) 정답이 The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 is important 인 경우 ➝ “예방 중요” 등
      • 예시 3) 정답이 “도형”인 경우 ➝ “검삼각 아래 흰사다리” 등
기본 상태 – 문제 번호 왼편의 ⚪︎ 와 오른편 A, B, C, D, E 의 ⬜︎ 로 구성
문제 번호 왼편의 ⚪︎ 는 "무응답 (= 0점 처리 요망)"을 나타낼 경우에만 ⚫︎ 검게 색칠
본인이 선택하는 정답 항목에 X 표시
정답을 수정할 경우, 처음 X 표한 항목을 완전히 검게 ⬛︎ 칠한 후, 새로운 정답에 X 표
(*1회 이상 정답 수정후, 최종 무응답하려면 왼편 ⚪︎를 완전히 검게 ⚫︎ 칠함)

주의 사항 - 4

시험 종료 및 퇴실 절차

  1. 하기 내용은 2022 기준으로써, 2023 이후 변경 가능하므로 “단순 참조용도로만 활용”
  2. 지시에 따라 OMR 답안지와 “서명하지 않은” Candidate Data Sheet 을 책상 측면에 가지런히 놓아둘 것 (*봉투에 집어넣지 말것)
  3. 지시에 따라 문제지(Question Paper), 표지(Cover Sheet), 그리고 안내문(Instruction Sheet)을 봉투에 집어 넣을 것 (*봉투의 투명 부분으로 바코드가 드러나야 함)
  4. 문제지∙표지∙안내문이 담긴 하얀 봉투는 감독관이 직접 수거
  5. 지시에 따라 지정된 위치(*보통 고사장 맨 앞의 감독관용 책상)에 “서명하지 않은 Candidate Data Sheet”와 OMR 답안지를 1명씩 순서대로 제출
  6. 해당 위치에는 “일련 번호가 동일한 1쌍의 바코드 스티커“가 무작위로 준비되어 있으며, 응시자가 임의로 “동일한 1쌍”을 선택하여 “Candidate Data Sheet”와 OMR 답안지의 정해진 공란에 각각 붙여야 함 (*감독관 촉수 엄금)
  7. 반드시 “동일한 바코드 일련번호”인지를 확인하고 부착해야 하며, 스티커 부착 후에는 지시에 따라 “Candidate Data Sheet”에 “바코드 스티커의 일련번호가 동일하며, 작성한 응시자 정보가 정확하다”는 내용으로 “최종 서명“해야 함
  8. 이후, 각각 지정된 서류 상자에 Candidate Data Sheet 와 OMR 답안지를 분류하여 집어 넣어야 함 (*감독관 촉수 엄금)
  9. 공식 채점 결과는 응시일로부터 약 2주 후에 “무기명 응시자번호별 채점 결과”를 먼저 발표 (*적어둔 일련번호와 대조)
  10. 그로부터 1-2주 후에 “최종 합격자 발표 (*2023년도 기준 11.7 non-EU 1차 합격자 명단은 대학별 홈페이지, 일부 대학은 일련번호로 합격자 발표)”
위로 스크롤